인천시는 어린이집 보육료 빼돌리기 등 각종 불법 행위와 관련,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 대책을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우선 전체 2020여곳의 어린이집 가운데 61%에만 설치돼 있는 ‘운영위원회’를 올해 말까지 100% 설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어린이집 운영위는 원장과 보육교사 대표, 학부모 대표, 지역사회 인사 등 5~10명으로 구성된다.
또 어린이집의 각종 운영 규정을 만들거나 고치는 일, 어린이집의 예산 사용 내용 심사, 급식이나 안전 같은 운영상 중요한 문제 감독 등의 일을 맡고 있다.
인천시는 현재 108곳(전체의 5.2%)에 불과한 공립 어린이집을 2016년까지 100곳 더 늘리기로 했다.
공립 어린이집은 시 예산으로 짓고 운영은 민간 전문기관에 맡기는 형태다.
원장과 교사들의 월급을 시가 주며, 수시로 지도감독을 한다. 학부모나 원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질 경우 위탁 운영기관을 바꾸기도 한다.
인천시는 시와 구·군이 번갈아 어린이집에 대한 지도점검을 벌이기로 했다.
인천보육센터 홈페이지에는 어린이집의 불법행위나 이용하며 느끼는 불편함을 신고하는 신고센터(childcare.iccic.or.kr)도 운영 중이다.
문의전화:인천시청 보육기반팀(032-440-2897)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