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주유소' 역시 관심이 높은 현 정부의 시책 가운데 하나다. 그렇기에 최근 알뜰주유소에서 가짜주유소가 적발된 사례는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명실상부 정부가 추진하는 기름값 안정화 정책의 '간판'이 아닌가. 명예회복을 위해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정부는 향후 가짜석유 적발 시 2년간 영업정지라는 대책을 새롭게 세웠다. 하지만 이는 예방이 아닌 사후 처벌이기 때문에 허점이 생길 수 있다. 가짜석유 판매업자들은 명의변경 등 다양한 재범 수단을 가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재발 사례가 많았던 점을 생각하면 단순히 처벌 강도만 높인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더욱 철저한 예방책이 필요해 보인다.
그런 이유에서 정부가 알뜰주유소의 품질보증 프로그램 가입 의무를 선택사항으로 변경한 것이 아쉬움을 낳는다. 알뜰주유소 가입 업소 수를 늘리려고 규제를 푼 것이 결국 화근이 된 셈이다.
무폴주유소가 인기를 못 끌었던 이유를 간과해선 안 된다. 품질에 대해 안심할 수 없다는 게 소비자들이 가장 꺼리는 부분이었다.
반면 알뜰주유소는 정부가 지원하는 브랜드라는 점이 다른 무폴주유소와 차별화된다. 그럼에도 가짜석유가 적발된다면 의미가 없어진다. 알뜰주유소 늘리기에 급급하기보다 품질보증제 등을 통해 신뢰를 쌓아가는 게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유사가 연간 수천억원의 브랜드 마케팅 비용을 괜히 쏟아붓는 게 아닐 것이다. 더욱이 알뜰주유소는 정부의 시책이기에 관심을 보이는 국민도 많다. 스스로의 '브랜드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도 정부는 가짜석유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