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산이 온다 산이 간다 들이 온다 들이 간다. 우리 모두 다함께 힘껏 달리자
저기 강이 온다 강이 간다 언덕 온다 언덕 간다. 우리 모두 다함께 맘껏 달리자
길을 따라 달리는 자전거엔 모두 즐거운 마음들, 동그라미 두 개가 달려가는 멋진 자전거 하이킹...
옛날 직장 초년 시절 주말이면 항상 친한 친구들과 자전거 하이킹을 갔었다. 높기만 했던 하늘과 눈부신 햇살, 끝도 없이 파란 들 길을 가로지르며 싱싱한 꿈과 희망... 자전거에 대한 추억이 많다.
5월의 선데이 모닝. 중앙역에 차를 파킹하고 자전거 대여소에서 자전거를 빌려탔다. 춥지도 덥지도 않은 싱그러운 바람을 가르며 자전거 길을 따라 본오동 최용신 기념관으로 페달을 밟았다.
1990년 말경, 처음 안산에 와서 상록수역을 보면서 심훈의 상록수를 연상했고 놀랍게도 그 소설의 무대임을 알았고 가끔씩 천곡교회를 찾았던 기억이 난다.
일제 식민지 시절 24세 나이에 농촌계몽을 통하여 청춘을 구국운동에 바친 당시의 신여성 최용신님을 생각하며 요즘에는 24세 신여성(?)은 엄친 밑에서 안정된 에스컬레이터 삶만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여러 생각들을 하면서 다시 길을 따라 성호 이익선생 기념관을 찾았다.
그는 숙종대 당쟁에 휘말려 벼슬하지 않고 80여 평생을 이곳에 칩거하면서 학문과 집필에 몰두한 실학의 대가이다.
그의 저서 성호사설, 성호문집, 성호질서, 곽우록 등은 당시의 권세를 누린 벼슬아치보다도 더 값지게 후세까지 칭송되는 것 아닌가.
지금으로부터 300년 전쯤 성호는 어디쯤이었을까? 성호에서는 벼슬에 대한 미련은 아예 없었을까? 아니면 집필은 분노의 아름다운 산물이었을까?
어릴 때부터 몸이 무척 약했다는 데도 불구하고 80여세 까지 천수를 다 한 것은 지식에 대한 열정과 성숙, 여유라고 그분의 저서를 통하여 생각해 봤다. 성호 이익선생의 묘는 조용했다.
그리고 간단히 점심을 하고 식물원과 조각공원 노적봉폭포공원을 돌아 중앙역에 왔다.
올해는 해마다 괴롭혔던 황사도 없다 한다.
안산시는 2010년 행안부에서 추진하는 전국 10대 자전거 도시에 선정되어 총 199억 정도의 사업비가 투자됐고, 올해 대부분의 사업들이 마무리 된다.
우리시가 전국 10대 자전거 도시로 선정된 것은 도로 여건 및 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진 때문이며 이를 시범으로 각 지자체에 확산을 유도하는 중앙정부의 방침이다.
주요사업으로 시장보기 출 퇴근, 통학 등의 가까운 거리 자전거 타기운동의 생활형 자전거와 건강과 레져를 위한 레져용 자전거 도로구축 사업이 올 6월이면 모두 완공된다.
특히 레져용 자전거 도로는 안산의 숨은 명소 및 문화탐방, 시화호 대부도 명소 등으로 맛집과 함께 자전거로 돌아 볼 수 있도록 연결해 놓은 것으로 문화와 건강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각 5개 전철역에서 대여하고 있는 공공 자전거를 올 11월이면 44개 지점(스테이션)에서 무인시스템으로 365일 24시간 누구나 쉽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요즈음 건강과 몸매 관리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이다. 적게 먹고 많이 운동하고...
올해 여름은 자전거를 타고 가까운 곳을 여행하자, 안산의 명소를 탐방하자. 건강. 운동은 물론 역사도 공부하고 군데군데 맛집도 있어 미식의 즐거움과 교통비까지 절감하는 다목적 여행으로...
시원한 바람과 함께 다시 페달을 밟으면서 계절의 여왕 5월을 만끽할 수 있는 삶에 감사드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