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석 기자 leehs85@ajnews.co.kr |
이 국장은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2회 글로벌 헬스케어 포럼’에서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과 식약청의 역할’을 주제로 한 오찬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의약산업 환경이 치료 중심에서 개인 맞춤형에 기반한 예방 중심으로 전환하고, 치료제·유전자 치료제·조직공학 의약품 등 새로운 개념의 의약품이 등장하는데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적으로 제약업계는 합성의약품 개발이 한계에 봉착하고 주요 대형(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다가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국내에서 품목 허가를 받은 바이오의약품은 올 5월 현재 842개다.
이 가운데 554품목이 제조 허가를, 288품목이 수입 허가를 받았다.
임상시험 건수는 2002년 이후 지금까지 총 514건에 달한다.
이 국장은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취약점이 있다”며 SWOT(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요소·Opportunity, 위협요소·Threat)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요구했다.
국내 바이오의약품의 강점은 △우수한 임상시험 인프라 △우수한 인력 △유망 후보물질 △특허분쟁 경험 소유, 약점은 △인허가 정보·마케팅 정보 부족 △글로벌 성공 경험 부족 △각국의 제약 관련 제도 정보 부족이 꼽혔다.
이에 비해 △기술수입(라이선스 인) 전략 확대 △의약품 시장 규모 확대 △관련 산업 정부의 법·제도 구축 △정부의 연구 지원 강화 등은 기회로 분석됐다.
단 △기업의 해외 진출 의지 부족 △다국적 제약사의 경쟁 심화 △인도·중국 등 제약 신흥 강국의 등장은 위험 요소로 나타났다.
이 국장은 “공무원의 정책 역량이 정부 능력의 선진화를 이끌고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며 “시장의 변화 요구에 맞춰 달라지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