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킹 특사 韓·中 방문계획‥ '북한 인권' 공세차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미국 정부가 한국과 중국, 일본에 북한인권특사를 파견할 방침인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이는 미국이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내달 중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가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북한의 인권 실태와 이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 등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 국무부가 지난 24일 '2011 국가별 인권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인권상황을 "여전히 매우 열악하다"고 평가 이후 첫 행보다.

킹 특사는 또 7월초에는 중국도 방문해 탈북자 북송 문제 등을 제기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한 외교소식통은 "최근 북한의 민생·인권 문제를 중시하는 미국 정부의 정책의지가 반영된 외교일정으로 파악된다"며 미국이 핵·미사일 문제에 치중돼 있는 북한 정책을 북한의 민생, 인권 등으로 변화를 꾀하려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 국무부의 '2011 국가별 인권보고서'에는 "중국 정부는 모든 (탈북) 북한인들을 난민이나 망명자가 아닌 '경제 이주민'으로 간주하고 있다"며 "유엔 난민최고대표사무소(UNHCR)도 중국내 탈북자들에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 주민을 돕는 개인을 체포ㆍ감금하는가 하면 북한 주민을 강제로 송환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강조했다.

최근 들어 미국 행정부는 물론 의회와 민간단체(NGO)등이 나서 북한 탈북자 강제송환, 정치범 수용소 문제를 집중 제기하는 등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미국내 비판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킹 특사는 지난 29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의회 인권소위원회에도 참석해 미국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북한의 인권 실태, 미국 정부의 입장, 유엔 등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상황 개선 노력을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