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5일 오전 19대 국회 첫 본회의를 열어 국회의장단 선출을 시도할 예정이지만 상임위원장 배분, 민간인 불법사찰 및 언론사 파업 대책 등에 대한 이견차로 본회의 자체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원구성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등원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인 반면, 새누리당은 일단 단독으로라도 본회의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국회의장단 선출 등 안건을 단독 처리하기에는 과반(151석) 의석에 한 석 모자라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날 본회의가 무산되면 국회 공전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여야간 입장차가 워낙 커 원구성 협상 타결이 쉽지 않은데다 통합진보당 이석기 김재연 의원 등 '종북 주사파'논란에 휩싸인 의원 제명 문제, 민주통합당 임수경 의원 막말 등을 놓고도 정국은 한층 더 꼬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 새누리당 이한구, 민주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전날 밤 전화접촉을 갖고 정상개원을 위한 조율을 시도했지만 이견을 좁히는 데 실패했다.
양당은 현재 상임위원장(총 18개) 배분과 관련해 새누리당 10개, 민주당 8개의 비율로 가닥을 잡았으나 법사위와 문방위 등 핵심 상임위원장을 누가 가져가느냐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맡았던 법사위원장을 가져오는 조건으로 외통위원장 또는 국방위원장을 야당에 넘길 수 있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법사위원장 '양보 불가' 방침 속에 여당이 맡았던 정무위와 국토위, 문방위 3곳 중 하나를 줘야 원구성 협상이 진행될 수 있다고 맞서고 있는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