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찬양 연구원은 "여름철 전기 부족은 역설적이게도 전기로에서 생산되는 봉형강 부분의 수익성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전기로 업체는 전력 수요관리에 따라 예년보다 빠르게 철근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홍 연구원은 "낮은 재고와 유연하지 못한 생산, 그리고 탄탄한 수요는 제강사들의 협상력 강화 요인"이라며 "이에 따라 철근 유통가격도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반기로 갈수록 주가에 반영될 내년 3고로 외형성장 모멘텀이 기대된다"며 "또한 현재 주가는 주가순자산비율(PBR) 0.7배 수준의 밸류에이션 매력을 지니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