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EBS 교육방송이 해킹을 당해 400만명의 개인정보가 그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보안업계에서는 이를 웹서버 악성코드인 ‘웹쉘(Webshell)’을 활용한 해킹수법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웹셀이 신종 해킹수법으로 등장하면서 쉘모니터에 대한 관심도 올라가고 있다.
쉘모니터는 △설치된 악성코드 및 악성코드 유포지 인터넷상의 파일주소(URL) 검역조치, △실시간으로 내·외부 웹서버 악성코드 및 악성코드 유포지 URL 침입에 대응 △변경방지 기능으로 중요한 시스템 파일을 외부 해킹으로부터 보호 △웹서버 설정 변경 탐지로 악의적인 권한 변경에 대한 대응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니텍 관계자는 “웹쉘 탐지방어솔루션은 출시 후 현재까지 약 4000여대 웹서버에서 운영되고 있고 그 수요가 더 늘어날 예정”이라며 “개인정보보호에 민감한 금융기관, 공공기관, 지자체 등에서도 지속적으로 도입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