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2012년 주택종합계획에 따르면 올해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45만1000가구로 계획됐다.
계획에 따르면 올해 주택건설 인허가 계획은 45만1000가구로 전년 55만가구 대비 18.0% 감소했다. 이는 주택수요(43만가구)와 시장 상황 및 작년 인허가 실적 등을 감안해 결정된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 25만3000가구, 지방 19만8000가구로 1년새 각각 7.0%, 28.8% 줄었다. 유형별로는 분양 33만7000가구로 같은 기간 30.2% 감소한 반면 임대는 11만4000가구로 70.2% 증가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종합계획에는 인허가와 함께 주택착공과 입주물량 계획도 함께 수립됐다. 인허가계획은 수립 후 입주까지 2~3년이 소요되고 경기상황에 따라 실제 착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착공 및 입주 상황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올해 착공물량은 공공 9만가구, 민간 31만~34만가구로 40만~43만가구로 계획됐다. 이는 지난해 실적인 42만4000가구와 비슷한 수준이다. 공공 공급물량 중 임대는 4만5000가구로 지난해와 같고 분양은 4만5000가구로 3000가구 늘었다.
올해 입주물량은 35만2000가구로 지난해 33만9000가구보다 소폭 늘어날 전망이다. 아파트는 18만5000가구로 전년대비 3만2000가구 가량 줄지만 아파트외 소형주택 건설 등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