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모바일인터넷전화 전면 허용 초강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6-07 17: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윤태구 기자= LG유플러스가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 서비스를 전면 허용하기로 하면서 이동통신업계에 파장이 일고 있다.

이상민 LG유플러스 홍보담당 상무는 7일 서울 세안프라자서 열린 070플레이어 서비스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이상철 부회장을 비롯해 긴급관계자회의를 열고 오늘부터 요금제 제한 없이 전면적으로 무료 모바일인터넷전화를 허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상무는 “앞으로 통화품질 문제도 체크해야 하고, 이용자들의 사용패턴도 체크해야 한다”며 “ 이에 따라 새로운 약관과 요금제도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의 모바일인터넷전화 전면 허용 방침은 SK텔레콤과 KT가 3G의 경우 54요금제 이상, LTE는 52요금제 이상 이용자에게 서비스 활용을 허용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기준을 강화하려고 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대응이다.

SK텔레콤과 KT는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이 무임승차하고 있으며 모바일인터넷전화의 확대가 수익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허용 요금제를 높인다는 방침을 시사하고 있다.

양사는 보이스톡이 망 이용대가를 지불해야 하며 산업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고 크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LG유플러스의 mVoIP 전면 허용 방침은 이같은 양사의 움직임과는 정반대의 대응이다.

SK텔레콤과 KT는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3사가 카카오 보이스톡이라는 서비스에 공동 대응해야 하는 시기에 LG유플러스가 엇박자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양사에게는 LG유플러스의 조치가 이통산업 발전에 역행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통사의 공동대응이 필요한 때에 LG유플러스가 독자적으로 너무 근시안적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mVoIP 서비스를 가입자를 상대로 전면 허용했을 뿐 차후 카카오톡 등 사업자들이 망 이용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

mVoIP 사업자에 대한 대응은 행동을 같이 하되 가입자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를 전면 허용한 것 뿐이라는 설명이다.

LG유플러스가 이같이 초강수를 들고 나온 것은 만년 3위 사업자로 LTE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상황과 더불어 전면 허용을 통해 가입자 유치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상무는 “우리는 업계 3위 사업자”라며 “우리의 선택은 선도적이어야한다는 방침에 따라 경쟁사들과는 다르게 가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다른 사업자와 경쟁할 수 밖에 없는 입장에서 가입자 유치 경쟁에 중점을 뒀다는 설명이다.

mVoIP를 선도적으로 허용하면서 시장 효과를 노리겠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mVoIP 전면 허용으로 이미지 개선을 노릴 수 있을 것”이라며 “손해 보는 것도 있겠지만 반대급부가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