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에 불필요한 스펙 1위는?"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취업을 위해 스펙에 매달리는 구직자들이 많은데, 실제 직장생활에는 얼마나 도움이 될까?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www.saramin.co.kr)이 직장인 569명을 대상으로 ‘취업 전 쌓은 스펙의 업무 활용도’를 주제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평균 39%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무 활용도에 따라 ‘10%’(16%), ‘50%’(16%), ‘20%’(15.3%), ‘30%’(12.8%) 등의 순으로, ‘0%’라는 응답도 8.6%였다.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은 스펙으로는 ‘학점’(27.4%,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뒤이어 ‘토익 등 공인어학성적’(25.7%), ‘학벌’(22.1%), ‘학력’(19.7%), ‘봉사활동’(17.9%) 등이었다.

선택한 스펙이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로는 ‘직무와 연관되지 않아서’(51%, 복수응답), ‘서류상으로만 필요한 스펙이라서’(46.4%), ‘개인 역량과 별 상관 없어서’(22.8%), ‘이론과 실전 차이가 커서’(22.4%) 등을 들었다.

그렇다면, 직장생활을 위해 다시 스펙을 쌓는 직장인은 얼마나 될까? 직장인 10명 중 7명(67.1%)은 ‘입사 후 새롭게 스펙을 쌓고 있다’라고 답했다. 이들은 ‘자격증 취득’(50%, 복수응답), ‘영어회화 공부’(29.1%), ‘교육, 세미나 참석’(20.7%), ‘공인어학성적 공부’(19.4%), ‘온라인 강의 수강’(16%)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새롭게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로는 ‘더 좋은 직장으로 이직하기 위해서’(6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밖에 ‘업무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45.3%), ‘더 많은 연봉을 받기 위해서’(34.6%), ‘자기만족을 위해서’(32.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한편, 신입 취업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스펙을 조사한 결과, ‘업무 경력’이 21.3%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전공’(16.7%), ‘자격증’(9.7%), ‘학력’(8.6%), ‘학벌’(5.3%), ‘토익 등 공인어학성적’(4%), ‘인턴 경험’(3.5%) 등이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