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방범 서비스의 불편한 진실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월 3만5000원으로 가정의 안전과 안심을 지키세요."

올해 국내 굴지의 물리보안업체가 선보인 공동주택 개별세대 방범서비스 상품의 광고문구 중 일부다.

최근 어린이, 여성, 노인 등 취약계층을 노린 범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면서 물리보안업체들은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회사 홈페이지에는 공동주택 개별세대, 맞벌이세대, 여성·노인 단독세대에 적합한 방범서비스라고 소개돼 있다.

또 합리적인 가격에 방범서비스, 재택경비, 비상 통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불편한 진실이 숨어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해 담당직원을 호출하면 직원은 즉시 출동하지 않고 다시 고객에게 확인전화를 건다.

그 뒤 호출이 확인되면 현장으로 출동하게 된다.

출동의 정확성을 위해서라지만 분초를 다투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비효율적인 방법임이 틀림없다.

여기에 불편한 진실은 하나 더 추가된다.

요즘 대부분의 공동주택 출입문에는 비밀번호키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방범직원이 출동하더라도 신속한 현장 도착을 보장하기 어렵다.

비밀번호를 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호출고객이나 건물관리인이 출입문을 열어줘야 한다.

앞서 말한 두 개의 불편한 진실은 TV CF, 인터넷 홈페이지 등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이 회사는 이러한 내용들을 모두 인정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비밀번호키 등으로 인해 신속한 현장 도착에 어려움이 있다"며 "가입절차 과정에서 이를 고객에게 설명하고 동의한 고객에 한해 가입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은 불안감에 앞서 무턱대고 방범서비스에 가입하기보다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이 우리 가정의 안전을 지키는 첫 번째 사항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