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 놓고 두동간 난 새누리…탈출구는 없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놓고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간 날선 대치가 장기화되면서 분당가능성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현행 경선룰을 유지하겠다는 친박계와 오픈프라이머로 도입을 촉구한 비박간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조정자’를 자처한 황우여 대표의 리더십마저 도마에 오른 상태다.

비박계인 김문수 경기지사는 12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당 지도부가 ‘박심’의 집행기구가 돼 있다”며 “박심을 살피고 박심대로 밀어붙이려면 경선이 왜 필요한가. 이런 상태에서 경선을 한다는 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재오 의원도 전날 한 TV 인터뷰에서 당 지도부의 경선관리위 출범 강행에 대해 “(비박 주자들이) 가만있든지 나가든지 택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바둑을 둔 것 아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몽준 전 대표 역시 현행 경선 룰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 비박계 3인방은 경선 ‘보이콧’ 선언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조만간 3자회동을 갖고 탈당을 포함한 향후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계 역시 오픈프라이머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진영 정책위의장은 “기본적으로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과 비박주자간 지지율 격차가 너무 크다”며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으로 흥행을 꾀해야 하는데 이미 보수표는 결집한 상태고 중도표를 이 방식으로 잡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대선 경선을 관리해야 할 황우여 대표는 현행 경선 룰대로 경선을 진행하면서 비박 주자의 의견을 수렴해, 선거인단을 소폭 늘리는 방안을 구상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핵심 당직자는 “경선에 참여하겠다는 임태희 전 실장이 제시한 선거인단 확대, 2040참여 강화가 일종의 중재안으로 제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 친박 측은 지역별 순회경선을 실시하고 선거인단을 소폭 늘리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우 대변인은 경선룰 논란과 관련, “양진영이 대립으로 정권창출이라는 목적이 경선룰이란 수단때문에 위협받고 있다”며 “정권재창출을 위해서 양쪽이 유연함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선거인단 확대 방안에 대해선 “현실적으로 가능성을 열어놓아야 할 대안 중 하나”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