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최고위원은 14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정책대의원ㆍ모바일 이중투표자가 특정 집단에 소속돼 있었고, 그 특정 집단에 처음부터 특혜를 주는 경선룰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제가 된 이중투표자는 친노(친노무현) 성향이 강한 ‘국민의명령 백만민란’ 소속으로 알려졌다.
추 최고위원은 “한국노총의 경우 수십년간 존재했던 집단이라서 기존 정책 관철을 위해 경선에 참여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며 “그러나 개인 정치인을 지지하기 위해 활동한 집단에 대해서도 정책대의원을 배정한 것은 특혜”라고 재차 지적했다.
그러면서 “모바일 투표 참여가 적은데다 억지로 호객행위를 하다시피 참여를 유도하다 보니 관리도 느슨하게 된 것”이라며 “대선경선기획단은 이런 부정적인 요소까지 미리 예상해서 관리할 수 있는 신뢰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추 최고위원은 대표경선시 70%였던 모바일 투표 반영률 조정 여부에 대해서는 “완전국민경선으로 가면 다 개방하니 늘어날 수 있다”면서도 “여야 합의에 의한 제도화가 안되면 역선택도 가능하다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 문제에 대해서는 “안 원장이 개인으로 정권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민주당이 국민경선의 공정성을 보장해 준다면 입당ㆍ영입을 통해 민주당은 흥행을 높이고 안 원장은 민주당이라는 정치세력을 얻어갈 수 있으니 윈-윈방식”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