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국산품 판매 상승↑…영세 중소상인 살린다

  • -국산품 판매 1위 화장품, 인삼제품·식품류 순<br/>-“다양한 국산품 시급”…국산품 매장 확대한다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정부가 시내면세점을 통한 영세 중소상인 살리기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외국인전용 시내면세점에 대해 대기업보단 중소·중견기업 제품 비중을 확대해 영세 중소상인을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화장품, 인삼제품, 식품류 판매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어 다양한 국산품 도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산품 판매품목 현황을 집계한 결과, 화장품 인삼류 식품류 보석류 민예품 등의 순으로 꾸준한 판매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품목별 순위는 화장품이 2525억원, 인삼류(459억원), 식품류(225억원), 보석류(132억원), 민예품(122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4월까지 판매금액이 지난해에 비해 64% 증가한 1668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세관 관계자는 이에 대해 “화장품, 인삼제품, 식품류 판매금액이 전체 금액 1668억원의 83%인 1385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며 “외국인 관광객 선호에 맞는 보다 다양한 국산품 개발이 필요하다는데 협의회 참석자들이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세청은 면세점의 국내산 판매품목을 확대하기 위해 이달부터 민관 합동 협의회(국풍 코리아)를 운영하고 있다.

국풍 코리아는 면세점 국산품 판매를 늘려 일자리 창출과 국산품 생산 우수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협의회로 세관, 시내면세점, 한국면세점협회, 국산품 공급업체, 중소기업유통센터 등 유관 업체 및 기관 관계자 24명으로 구성됐다.

앞서 정부도 지난 3월 위기관리대책회의를 통해 ‘영세 중소상인 지원대책 점검과 계획’의 기틀 속에 면세점 계획안을 마련, 관세청이 외국인전용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를 심사하고 10개 내외의 지방에 우선 설치를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전체 면세점은 28개로 이중 대기업 면세점은 16곳이다. 특히 대기업 면세점 매출 비중은 85%인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대기업은 배제하고 중소·중견기업과 지방공기업을 우대키로 했다. 기존 국산품 매장 면적비율도 12%에 불과한 실정임을 감안해 면적의 40% 또는 825㎡(250평) 이상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협의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은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 지속적으로 고민할 예정”이라면서 “면세점 국산품 판매 증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