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특사는 이날 통일연구원이 `김정은 체제의 북한 인권문제와 국제협력‘이란 주제로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제2회 `샤이오 인권포럼’에 참석해 “보다 열린 정보환경은 북한 주민의 의식화에 이바지한다. 북한의 (정보) 봉쇄를 뚫는 것은 북한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번영과 안보로 가는 길은 북한 정부가 국제사회에 대한 의무와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고 도발에는 보상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이규창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북한에서는 단기적으로 공안기관을 통해 김정은 체제의 안정을 위한 사회통제가 강화될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북한 주민의 시민적·정치적 권리는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경제난과 식량난도 본질적으로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의 시장활동과 당국의 통제 사이에 갈등 요소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했다.
미국 민주주의재단의 린 리 박사는 “북한의 미래를 위해서는 젊은 탈북자들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탈북 청년들은 한국의 정치·경제 시스템을 경험했으며 자신들의 고향을 해방하고 재건하려는 사명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북한이 개방됐을 때 남북을 연결하고 궁극적으로 통일의 기초를 닦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