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유인 우주 도킹' 도전…선저우 9호 발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6-17 10: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中 '유인 우주 도킹' 도전…선저우 9호 발사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중국이 선저우(神舟) 9호를 발사하며 '유인 우주 도킹'기술 확보에 나섰다.

유인 우주선 선저우 9호를 실은 창정(長征)2-F 로켓이 16일 오후 6시 37분(현지시간) 네이멍구자치구 주취안(酒泉)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됐다.

선저우 9호에는 징하이펑(景海鵬), 류왕(劉旺), 류양(劉洋·여) 등 3명의 우주인이 탔다.

중국의 유인 우주선 발사는 이번이 네 번째로 선저우 5호(2003년), 선저우 6호(2005년), 선저우 7호(2008년)를 발사한 바 있다.

선저우 9호는 발사 후 570여초가 지나 로켓에서 완전히 분리돼 지구 궤도를 돌기 시작했으며 1∼2일 뒤 실험용 우주 정거장 톈궁(天宮) 1호와 도킹을 시도할 계획이다.

중국이 도킹에 성공하게되면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유인 상태에서의 우주 도킹 기술을 확보한 나라가 된다.

선저우 9호는 우선 자동 운항 방식으로 1차 도킹을 했다가 다시 분리하고 나서 우주인의 수동 조작 방식을 통해 2차 도킹을 시도한다. 도킹이 성공하면 선저우 9호와 톈궁 1호는 결합 상태에서 열흘간 지구궤도를 돈다.

우주인들은 톈궁 1호와 선저우 9호 사이를 자유롭게 오가면서 각종 과학·의학 실험 및 지구·우주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휴식도 취하게 된다.

실험 항목에는 신진 대사, 심혈관 기능의 변화 같은 우주인들의 생체 적응 관찰에서 장기 우주 체류 시대를 대비한 소변 정화, 광합성을 통한 산소 확보 차원의 조류(藻類) 배양 등이 포함됐다.

원격 조정을 통해 산소와 질소 혼합 가스가 채워지는 등 톈궁 1호는 이미 우주인들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선저우 9호는 발사 후 13일이 지나면 톈궁 1호와 분리해 네이멍구자치구 초원 지대로 귀환한다.

톈궁 1호는 내년 수명이 다해 지구로 추락해 소멸하게 된다. 이후 중국은 2016년께부터 정식 우주정거장 모듈을 차례로 우주로 쏘아 올려 2020년께부터는 미국, 러시아가 주도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와 별도의 독자적인 우주 정거장을 건설해 운영한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한편 중국은 우주인의 톈궁 1호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실험용 우주 정거장인 톈궁 2호와 톈궁 3호를 차례로 발사해 본격적인 우주 정거장 운영 시대를 위한 노하우를 쌓을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