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멕시코를 방문 중인 이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열어 양국간 FTA 협상을 가능한 한 빨리 재개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에도 펠리페 칼데론 멕시코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석 달 내로 FTA 체결 협상을 다시 시작키로 했다.
캐나다는 각종 천연자원의 보고로 자원을 수입해 완성품을 제조하는 산업이 주력인 우리나라 입장에선 FTA의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캐나다가 G7(선진 7개국)의 일원이자 우리의 우방인 만큼 세계 외교 전략과 안보 강화 차원에서도 FTA 체결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멕시코 또한 중미 지역의 중심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FTA 체결을 통해 여러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특히 멕시코는 우리나라와 이미 FTA를 체결한 칠레.페루와 '태평양 동맹'을 맺고 있어 실제 양국간 FTA가 발효되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이번 남미 순방에서 태평양 동맹의 일원인 콜롬비아와 FTA 협상을 매듭 질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