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는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제26회 국무회의에서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연합(EU), 아세안 등 세계 3대 경제권과 모두 FTA를 체결하는 등 FTA를 통한 경제개방을 국가적 과제로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럽 경제침체에도 FTA 혜택 품목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한·미 FTA 발효 이후 대미수출도 늘어나고 있고 수입가격 인하 등 국내소비자의 혜택도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지금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FTA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내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라면서 “관계 기관은 취약 부문의 보완조치를 재점검하고 일자리 창출, 물가안정 등 FTA의 체감 효과를 높이는 데 더 큰 노력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7월부터 시행되는 포괄수가제, 에너지 사용 제한 등 생활과 밀접한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것과 관련, “남은 기간 예상 가능한 문제점을 면밀히 점검하고 보완해 원래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달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