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우여곡절 끝에 ‘무노동·무임금’ 적용키로

  • 의총서 6월분 세비 ‘자진 반납’ 결의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새누리당은 19일 우여곡절 끝에 ‘무노동 무임금’ 실천방안을 확정했다. 새누리당 원내지도부는 국회의원 특권포기 6대 쇄신안의 핵심인 ‘무노동 무임금’을 논의하기 위해 6월 세비 지급을 하루 앞둔 이날 오후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다.

원내지도부는 당초 ‘세비 공제 동의서’를 배포해 서명을 받을 예정이었지만, 의총 자체에 불참하는 의원을 고려해 안건을 결의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세비 반납에 동의하지 않는 의원들에 대해선 지도부가 직접 설득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의원들의 세비를 강제로 뺏을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홍일표 원내대변인은 의총 직후 브리핑을 통해 “대다수의 의원들이 (박수로) 동의했다”면서 “내일 지급된 계좌에서 자진 반납을 받고, 사용처는 당 최고위에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와 관련해 이한구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통합당을 겨냥하며, 강한 관철 의지를 내비쳤다.

이 원내대표는 “국민은 어려운 생활여건 속에서도 많은 세금을 내서 국회의 활동비를 대주고 있다”며 “민주통합당은 ‘유노동 유임금’ 하겠다고 하는데 2주간 국회를 열지 않고 있으면서 그런 얘기를 하는 것은 국민 눈에 낯 두껍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 생각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히지만 초선 의원과 ‘생계형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아 한동안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한 초선 의원은 이날 의총에 앞서 기자와의 만남에서 “국회가 열리지 않았다고 일 안하고 노는 거면 지역구 활동은 뭘로 설명할 것이냐”면서 “원내협상에 실패한 원내지도부가 책임을 져야지, 강제적으로 모든 의원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반발로 일각에선 한달에 1000만원 안팎의 세비를 전액 반납하지 않고 부분 반납하자는 ‘절충안’도 나오고 있다.

신의진 원내대변인은 “새누리당은 국회의원이 구속 등으로 의정활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해당 기간 동안 원천적으로 세비가 지급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