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도시철도 청소 장면, 서울시 제공] |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서울 도시철도 열차 내부에서 나는 각종 냄새의 주된 원인은 '냉방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는 올해 접수된 열차 내부 냄새에 관한 민원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결론을 얻었다고 20일 발표했다.
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지하철 고객센터로 들어온 열차 내부 냄새 관련 민원 총 734건 중 절반 이상인 491건이 4~5월 2달동안 집중 접수된 점에 주목하고 4월부터 가동하는 냉방기를 정밀 점검했다.
점검 결과 4월부터 가동되는 냉방기가 주요 원인으로, 찬바람과 더운 바람이 번갈아 불며 생긴 이슬이 냉방기 안에 머물렀다 내부로 배출되면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그동안 물세척한 증발기 장치를 앞으로는 연 2∼4회 고온·고압으로 스팀 세척을 하기로 했다. 냉방기 필터 세척 주기도 단축해 한 달에 2번 이상 고압으로 씻은 다음 8시간 이상 일광 건조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하철 1~4호선 냉방기 내부에 비치한 기존 친환경탈취제의 교체 주기를 3개월서 2개월로 단축한다. 또한 6~7호선에는 침투성이 높은 연막형 탈취제를 사용하기로 했다.
냉방기와 배기팬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5호선과는 달리 기관사가 적절한 시점에 배기팬을 직접 작동시켜야 하는 6~8호선에는 냉방기가 멈추면 자동으로 배기팬이 작동되도록 환기시스템을 개선한다.
이병한 서울시 교통정책과장은 "시민들이 지하철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냄새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제거하겠다"며 "열차 속에서 음식물을 먹는 등 상대방을 불쾌하게 하는 행동은 삼가길 바라며 열차 바닥에 냄새나는 물질을 흘리면 고객센터로 신고해 시민 모두가 쾌적한 환경 속에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