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도 유명 연예인 이름 이용…‘김태희 가방’ 마케팅

  • -송혜교, 고소영, 신세경 등 유명 연예인 이름 붙여 짝퉁 판매<br/>-짝퉁 일당 검거 2만4000점 압수…검찰 송치

서울세관 직원이 A(51)씨 등 일당 3명이 밀수·제조한 압수된 짝퉁 명품을 검사하고 있다.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 A(51)씨는 지난 2010년 1월부터 제조책 B씨, 국내 유통책 C씨와 함께 밀수·제조한 짝퉁 명품 5만여 점을 국내 유통하다 덜미가 잡혔다. A씨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이태원, 남대문, 부산, 제주 등 전국 각지 소매상을 통해 짝퉁을 유통시켰다. 또 일부는 고객 사은품으로 활용하는 보험회사 등에 납품하는 대범함도 보였다. 적발된 명품은 대부분 ‘김태희 가방’ 등 유명 연예인 이름으로 유명세를 탄 명품을 위주로 ‘가짜’를 밀수, 제조해왔다. 세관은 지난달 서울과 경기 일원에 있는 제조 공장 및 보관 창고 등 12곳을 덮쳐 2만4000점을 압수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서울본부세관은 중국에서 밀수한 ‘샤넬’ ‘루이비통’ 등 짝퉁 5만여 점을 국내로 유통시킨 총책 A(51)씨 등 일당 3명을 적발, 검찰에 송치했다.

최근 드라마를 통해 유명 연예인이 들고나온 명품가방이 인기를 끌면서 이들은 해당 제품을 위주로 밀수·제조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일명 ‘김태희 가방’ ‘신세경 가방’ 등으로 명칭을 붙여 연예인을 마케팅 기법에 활용했다.

유명세를 탄 명품은 최신 트렌드로 작용해 소비자 구매욕구가 높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김태희 가방’으로 불리는 샤넬 정품 가방은 500만원이다. 하지만 짝퉁은 20만원대에 판매돼 소비자 구매가 클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송혜교, 고소영, 신세경 등 유명 연예인의 이름을 붙인 정교한 짝퉁 제품은 판매 인기가 높았다. 품목의 경우도 가방, 지갑, 선글라스, 시계, 액세서리 등 돈이 될 만한 제품은 모조리 위조했다.

이 외에도 유명 연예인의 이름을 붙인 짝퉁 제품을 소개 책자(카탈로그)로 제작해 물건을 직접 보지 않고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지능적인 수법을 동원했다.

제병권 서울본부세관 사무관은 “이번 조사과정에서 루이비통의 ‘LV’ 문양을 양각한 중국산 짝퉁 가방이 첫 적발됐다”며 “루이비통 정품에는 양각 문양 제품이 없고, 특A급은 비교적 단속이 덜한 중국에서 제조해 중국산 짝퉁 품질이 떨어진다는 것은 과거의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담당 사무관은 이어 “올해 루이비통에서 밸런타인데이에 맞춰 한정품으로 출시한 120만원짜리 지갑도 중국산 짝퉁을 밀수해 10만원에 판매하는 등 전문화, 지능화된 수법을 사용했다”면서 “앞으로도 지식재산권 침해행위 단속에 조사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