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메가뱅크는 심각한 독과점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금융시스템의 안전성을 매우 위협하게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4월 30일 우리금융 매각입찰 공고를 냈으며, KB금융의 참여가 유력하다.
KB금융은 당장 3조2000억~5조6000억원 가량의 현금동원력을 갖춰 인수 능력이 맞아떨어지며, 금융당국도 최근 상법 개정 및 예금보험공사의 잔여 의결권 제한 방침을 통해 KB금융에 우리금융을 안겨주려고 하고 있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김 의원은 “두 은행이 합병할 경우 자산규모는 503조원으로 시장점유율 45%를 차지하게 된다”며 “미국발 금융위기 속에서 대형화된 금융회사들이 국민경제에 어떠한 악영향을 끼쳤는지 분명히 기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금융기관의) 대형화보다는 공공성과 안정성을 추구하는 세계적 금융추세에도 역행할 뿐더러 상업은행 고유의 자금중개기능의 약화와 중소기업 대출의 축소를 초래할 수 있는 철지난 금융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우리금융 매각 방안에 대해선 “금융산업의 공공성 회복을 위해 국민주 방식이나 블록세일, 우리사주 방식 등을 놓고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며 “또 자회사인 경남·광주은행 등은 독자 생존 여건이 갖춰진 만큼 지방은행의 육성 발전 차원에서 지역경제 주체에 분리 매각하는 방법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매각 시기를 대선 이후로 넘길 것을 금융당국에 강력히 촉구한다”며 “우리금융의 편법적 매각을 막기 위한 입법활동에 적극 나설 것이며, 당 차원에서도 공식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