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우 대변인은 최고위 비공개 부문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최고위에서는 외부행사로 시간이 부족한데다 의결 안건도 많아 경선 문제를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면서 “오후 4시 10분에 최고위를 다시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오후 최고위에서 경선관리위원회의 결정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라면서 “경선 룰까지는 모르겠지만 경선 일정은 오늘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앞서 경선관리위는 지난 20일 현행 경선 룰에 따라 8월 19일 대선후보 선출 경선투표를 실시한 뒤 다음날인 20일 후보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이날 최고위에서 일제히 현행 경선 룰의 조기 확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이번 경선은 먼저 민생경선으로 치르자는데 공감이 모아져야 한다”면서 “몇 백억원이 들어가는 오픈프라이머리는 혈세 낭비로, 당원 중심으로 후보를 뽑되 국민의 의견을 일정부분 수렴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비박 주자 측이 제안한 ‘대선주자 원탁회의’에 대해 “경선 룰은 당헌·당규 개정사항”이라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참여하는 원탁회의를 통해 경선 룰을 개정하겠다는 것은 당원을 무시하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이정현 최고위원도 “당에는 헌법과 같은 당헌이 있고 거기에 경선 룰이 규정돼 있는데 이 당헌을 마음대로 고치라고 지도부가 있는 게 아니다”라며 “경선 룰은 만들 때는 치열한 경쟁을 통해 만들어야 하지만, 일단 만든 이후에는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보수의 가치”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가 현행 경선 룰을 확정할 경우, 비박 주자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주자 3인은 현재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로의 경선 룰 개정 없이는 경선에 참여할 수 없다고 경고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