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총리 “우리나라, 냉엄한 분단의 현실을 겪고 있어"

  • 6ㆍ25 기념사…“나라 위해 희생한 분 끝까지 책임질 것”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김황식 국무총리는 “6ㆍ25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된다. 아직까지도 우리는 냉엄한 분단의 현실을 겪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김 총리는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제62주년 6ㆍ25전쟁 기념식‘ 기념사에서 “북한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에 이어 최근에도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로켓을 발사하는 등 여전히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땅에 다시는 6ㆍ25와 같은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안보의식을 더욱 굳건히 하고 튼튼한 국방력을 갖추는 데 온 힘을 모아야 한다”면서 “북한도 헛된 생각을 버리고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 공동번영의 길로 하루빨리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6ㆍ25전쟁은 한반도 전체를 잿더미로 만든 우리 민족 최대의 비극”이라면서 “4백여만명이 귀중한 생명을 잃거나 부상을 당했고, 1000만명이 넘는 이산가족이 남북으로 갈려 안타까운 삶을 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총리는 “그러나 불과 60여년 만에 무역 1조달러 시대를 연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 됐다”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나라 가운데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을 동시에 이뤄낸 유일한 나라가 바로 우리 대한민국”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나라를 위해 희생된 분들은 국가가 끝까지 책임을 지고 돌볼 것이며, 그것은 국가로서의 당연한 책무”라면서 “아울러 민간인 강제납북 인사들의 생사확인과 송환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우리가 직면한 냉엄한 안보현실을 돌아봐야 한다"면서 "고지(高地) 하나를 얻기 위해 하루 저녁에 수백, 수천 명이 목숨을 던져 지키고자 했던 것은 나라와 가족의 생명이었을 뿐 이념도, 다른 무엇도 아니었다. ‘오직 안보만이 국가의 존립과 국민의 생명을 지켜줄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결코 잊지 말자"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