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운 감도는 금융권… 총파업으로 이어지나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금융권이 하반기를 총파업과 함께 맞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노사 간의 임금단체협상 결렬과 함께 우리금융 민영화 및 농협과 정부 간 이행약정 등 산적한 현안이 맞물리면서 금융권 노조가 7월 말 총파업을 결의했기 때문이다.

25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에 따르면 이날부터 전국의 금융노조 지부는 투쟁상황실 체제로 전환했다. 하반기 임단투를 준비하기 위해서다.

현재 금융권 임단협은 결렬된 상태이며,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조정 절차를 밟는 중이다. 조정 과정에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금융노조는 예정된 수순대로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금융노조의 주요 요구사항은 △노동시간 단축 △20만 대학생 학자금 무이자대출(사회공헌활동 강화의 일환) △비정규직 채용 금지 및 향후 제도 폐지 등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사측과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조정에서도 합의를 보지 못할 경우 총파업 준비 순서로 간다”고 말했다.

임단협 뿐만 아니라 우리금융 민영화와 농협의 이행약정 사안도 노사 갈등의 빌미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은행 노조는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관치금융 철폐 및 메가뱅크 반대’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투쟁을 지속하고 있다. 현재 예금보험공사의 매각실사단 저지 투쟁과 금융위원회 앞 1인 시위를 진행 중이며, 신문광고 게재 등으로 현 상황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 민병덕 국민은행장이 노조위원장과 만나 우리금융 인수전 참여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존의 지지부진한 민영화에 탄력이 붙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날 국민은행을 비롯해 각 계열사 노조가 모두 모여 ‘KB금융그룹 노동조합협의회’를 출범시키고 우리금융 인수 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농협은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을 분리하면서 정부의 부족자본금을 지원받는 전제로, 농림수산식품부의 경영개선 이행약정(MOU)을 체결했다. 노조는 이와 관련해 농협의 독립경영을 침해하는 '관치금융'의 시도라며 반발하고 있다.

여기에 신동규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새로 선임되면서 노조는 '관치금융의 결정판'이라면서 이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신 회장은 노조 반발에 따라 아직까지 취임 일정도 잡지 못한 상태로 지난 22일와 25일 두 차례에 걸친 출근 시도도 모두 무산됐다.

현재 농협중앙회 노조는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본점 앞에서 출근 집회를 진행 중이며, 격일로 오전과 오후에 현 상황을 알리는 선전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금융노조는 다음달 11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하며, 찬성이 다수가 나오게 되면 26일 총파업 진군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이 모든 투쟁의 발단은 사측과 정부의 오만과 불통, 독단에서 비롯됐다"며 "이번 총파업 투쟁을 통해 임단투뿐만 아니라 현안 돌파에도 큰 동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