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지도부는 경선 룰 가능성을 열어뒀으나 비박(非朴ㆍ비박근혜)주자들은 강력 반발했다. 이들은 당 지도부가 최소한의 경선 룰 논의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입맛’에 맞게 무리한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하면서 `경선불참‘ 입장을 재확인했다.
경선일정 확정과 별개로 내달 9일까지 경선 룰 협의 여지를 남겨둔 데 대해서도 “꼼수이자 거짓말”이라고 일축했다.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주자 3인은 “일방적으로 경선 일정을 밀어붙인데 대해 납득할 수 없고 이후 벌어질 사태에 대해서는 당 지도부가 책임져야 한다”는 공동입장을 정리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당 안에서도 소통이 안 되고 당 자체가 이미 1인 독재의 사당화가 됐는데 그 당에 국민이 나라를 맡기려 하겠는가”라면서 “만약 당내 경선이 현재 룰대로 가면 참여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정 전 대표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논의기구가 무산돼도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참여가 어렵다”고 단언한 뒤 “개혁과 쇄신을 하고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해 놓고 총선이 끝나니까 입을 닫은 채 경선규칙은 옛 한나라당 것에서 한 자도 못 고치고 논의기구도 둘 수 없다고 하는데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지사 역시 전날 기자회견에서 `완전국민경선제가 안되면 경선에 불참하겠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거듭 확인하면서 “박 전 비대위원장이 정치개혁과 선거혁명, 기득권자의 정치를 국민의 정치로 돌려 드리기 위한 `제2의 6ㆍ29선언’을 해 달라”며 완전국민경선제 수용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