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2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보고서에 따르면 취업여성의 만족도는 미취업 여성보다 낮았다.
경제적인 면과 직업, 건강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주관적 만족감’항목에서 워킹맘은 만족 24.1%, 불만족 30.6%로 나타났다.
반면, 전업맘은 27.9%가 만족했다. 불만족 비율(25.4%)보다 높다.
직업의 선택 기준은 워킹맘과 전업맘 모두 ‘수입’을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안정성’과 ‘적성 및 흥미’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워킹맘이 48.1%로 전업맘(46.0%)보다 높았지만,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는 워킹맘이 55.0%로 전업맘(61.2%)보다 6.2%포인트 낮았다.
자녀에 대한 만족도 역시 워킹맘이 70.2%로 전업 맘(72.1%)보다 낮았다.
자녀의 학교운영에 참여하는 정도는 전업맘이 38.0%로 워킹맘(23.4%)보다 높았다. 특히 활발히 참여하는 비율은 전업맘이 7.6%로 워킹맘(3.3%)의 2배를 넘었다.
가사분담은 여성의 몫이라는 시각이 컸다. 워킹맘의 62.3%와 전업맘의 71.3%가 ‘부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로도 워킹맘의 86.5%와 전업맘의 89.9%가 그렇게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혼에 대해 워킹맘의 41.3%는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라고 답했다. ‘이유가 있으면 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 8.9%를 포함하면 절반 이상이 이혼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워킹맘은 만 18세 이하 미혼자녀를 둔 취업여성, 전업맘은 역시 만 18세 이하 미혼자녀를 둔 미취업여성으로 정의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