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여권에 따르면 내달초 출범할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캠프에서 홍사덕 전 의원이 정무를 총괄하고 김 전 위원이 정책을 총괄할 가능성이 높다. 또 캠프에는 최경환(총괄), 유정복(직능), 홍문종(조직) 의원이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권영세 전 의원은 전략기획 파트를 맡을 것으로 전해졌다.
홍 전 의원을 비롯해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에 대해선 우호적 여론이 많다. 특히 홍 전 의원은 5년전 경선 때도 정무를 총괄한 적이 있어 조직 운영의 귀재로 평가받고 있다.
문제는 김 전 위원이다. 학자출신인 그는 평소 자기 목소리를 강하게 내는 스타일이어서 자칫 조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우려의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또 지난 4월 총선 공천과정에서도 친이(친이명박) 계 중진 공천 반대를 요구하면서 위원직을 사퇴하는 등 너무 강성이라는 비판이다.
한 친박계 초선 의원은 “아직 김 전 위원의 합류가 확정된 것이 아니라고 알고 있다”며 “아무리 경제민주화가 좋다고 해도 군부정권에서 민주당까지 왔다 갔다 한 인사를 왜 기용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다른 친박계 인사는 “솔직히 김 전 위원의 생각은 합리적 보수가 아닌 중도좌파에 가깝다”며 “분배에 너무 치중해 반(反)기업 정서를 심어줘 전통 보수층의 이탈을 불러 올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특히 박 전 위원장을 두고 불통이라고 비난하는데 김 전 위원의 몽니도 장난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그렇다면 왜 박 전 위원장은 김 전 위원을 선택했을까. 친박계에선 경선룰 변경과정에서 불거진 박 전 위원장의 ‘불통’ 이미지를 불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김 전 위원 기용은 경제민주화에 방점을 찍겠다는 의미가 있다”며 “또 중도성향과 입바른 소리를 하는 인사를 포용한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위 체제에서 김 전 위원은 정강.저액 개혁과 경제민주화 도입을 주도한 인물”이라며 “이런 노고를 생각하면 선대위에 모시는 것도 좋은 일 아니냐”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