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김 총재는 국방대학교에서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와 향후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강연을 갖고 “과거에는 직전 경기고점의 국내총생산(GDP) 수준을 회복하는 데 평균 1~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데 비해 이번에는 그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언급하며 “주요국은 대폭적인 금리인하, 재정지출 확대 등 적극적인 정책대응으로 제2의 대공황은 모면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재정여력이 고갈되고 국가부채가 누증됐다”면서 “이로 인한 경제여건의 높은 불확실성 등으로 최근 세계경제는 과거에 비해 훨씬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장기 성장추세로의 회복도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과정을 거치면서, “선진국에 비해 경제상황 및 정책여건이 양호한 신흥시장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 성장을 견인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큰 폭의 디레버리징을 했던 선진국 금융기관과 달리 신흥시장국 금융기관은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면서 “신흥시장국의 세계경제 성장 기여율은 70% 정도의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그는 “선진국의 통화정책이 글로벌 유동성 변동을 통해 신흥시장국으로 파급됐다”면서 “글로벌화, 금융통합 진전 등에 따라 국가간, 부문간 연계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바젤(Basel) III의 자기자본비율 규제 등 미시건전성 감독체계 강화 및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SIFI) 규제 등 거시건전성 규제 도입 등의 사례를 언급했다.
김 총재는 향후 정책 과제에 대해 “자본유출입 변동 완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국제공조를 통해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면서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대외충격의 영향을 덜 받고 안정된 성장을 이루기 위해 내수와 수출의 균형성장 및 생산성 주도 성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그는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완화를 위해 국내 금융시스템의 잠재리스크 요인을 해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