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입주지연..대책마련 나선 정부·건설사, 효과 있을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04 1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영종·청라지구 등 수도권 입주아파트 주민들의 입주 거부 사태가 소송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건설사들이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하지만 입주 거부의 주된 원인이 분양가 밑으로 떨어진 시세 때문인 만큼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아 당분간 진통은 계속될 전망이다.

4일 건설업계와 부동산 시장에 따르면 올해 입주했거나 입주를 앞둔 아파트 12만9816가구 중 6~8월에만 전국적으로 5만3075가구가 입주민을 맞고 있다. 이중 수도권 입주예정 물량은 2만8998가구로, 대부분 인천(1만807가구)에 몰려 있다.

그러나 이들 중 현재 입주율은 평균 40%가 채 안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영종지구의 경우 내년 초까지 입주가 예정된 세대는 전체 8800가구. 이 중 90%의 계약자가 입주를 거부하고 있다. 영종지구는 입주량이 7849가구로 청라지구(4186가구)의 2배에 가깝다. 하지만 기반시설은 훨씬 열악해 아직 도로, 상하수도, 통신인프라 등의 공사가 진행 중이다.

또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첫 입주에서 한달이 지난 9월께 개교하고, 고등학교는 내년 3월에나 문을 열 예정이어서 인근 신도시로 장거리 통학을 해야 한다. 입주구역내 체육공원과 가로수 식재 공정률도 30%에 불과하다.

청라지구의 경우 전체 2만3925가구 중 입주한 가구수는 약 1만5000가구로 전체 60% 정도다. 청라지구는 7호선 연장계획 철회, 제3연륙교 지연 등 악재가 겹치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밖에도 상반기 입주가 시작된 남양주 별내지구, 김포한강신도시, 고양삼송지구 등도 기반시설 미비로 주민들의 입주거부가 계속되고 있다.

입주지연 사태가 심각해지자 정부와 건설사들이 입주대책에 발벗고 나섰다. LH는 인천 영종ㆍ청라지구 내 임주지원센터를 마련하고 기반시설 완공을 서두르고 있다. 직원이 상주하면서 입주편의를 제공하고 동사무소와 경찰지구대 역할도 일부 수행할 수 있도록 유관 기관들과 협의 중이라고 LH는 전했다.

인천도시개발공사도 청라지구 일부 단지의 입주기간을 최장 6개월까지 연장했다. 중도금 대출 이자를 공사에서 우선 납부해주는 것과 동시에 이사비용도 지원키로 했다. 건설사들도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영종지구, 청라지구, 김포한강신도시 등 입주를 맞은 건설사들은 셔틀버스 무료운행, 관리비 지원, 단지내 영어마을 조성 등 각종 입주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이 입주를 거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시세 하락 때문이다. 청라지구내 K공인관계자는 “입주를 시작한 이후 집값이 더 떨어져 급매물이 속출하고 있다”며 “분양권에 비해 5000만원이상 싼 매물이 쌓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영종지구 등 인천지역 입주중인 아파트들이 대부분 겪고 있는 문제다. 분양가에 비해 현재 시세가 20~30%씩 빠졌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연구실장은 “수도권 서부권역은 대규모 개발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다보니 기반시설이 늦어져 문제가 되고 있다”며 “앞으로 교통 등 기반 인프라를 얼마나 빨리 확충하느냐에 회생여부가 달려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