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은 인체 면역계가 이상을 일으켜 환자 자신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관절 주위를 둘러싼 ‘활막’이라는 조직의 염증 때문에 생기며 국내 유병률은 약 1%다.
연구팀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35명)와 퇴행성 관절염 환자(14명), 건강한 사람(35명)으로 각각 나눈 뒤 혈액과 무릎 관절액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한 후 면역세포 표면에서 ‘에놀레이즈’의 발현 정도를 분석했다.
이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혈액에는 95% 이상의 면역세포에서 에놀레이즈 발현이 관찰된 반면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혈액에서는 3% 미만의 면역세포에서만 에놀레이즈가 발현됐다.
건강한 사람의 혈액에서는 아예 에놀레이즈를 발현하는 면역세포가 없었다.
송 교수는 “혈액 검사로 에놀레이즈 수치를 측정해 관절염 발병을 예측하고 치료 후의 예후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