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계, 줄어든 수수료 수익 어떻게 채우나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카드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으로 카드사들의 수수료 수익이 대폭 축소된다. 이에 카드사들은 수익 보전을 위해 부가서비스 및 마케팅 비용을 대폭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여신금융협회와 카드업계에 따르면 수수료 체계 개편으로 전체 카드가맹점 평균수수료율이 기존 2.09%에서 1.85%로 낮아진다.

특히 오는 9월부터는 전체 가맹점의 68%(152만개)인 연매출 2억원 미만의 영세가맹점이 기존 1.8%에서 0.3%포인트 낮아진 1.5%의 우대수수료율을 적용받는다.

여신금융협회는 새로운 체계가 적용되면 카드사들의 수수료 수익이 약 8739억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수익감소에 대비하기 위해 카드사들에 마케팅 비용 절감을 주문했다.

이미 카드사들은 수수료 체계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부터 부가서비스를 일부 축소해 나가기 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포인트와 마일리지, 캐시백 등의 할인혜택을 1년 전보다 50% 이상 축소했다.

부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전월 이용액 기준도 같은 기간 평균 50%가량 높아졌다.

하지만 당장 9월부터 영세가맹점의 수수료율이 낮아짐에 따라 카드사들은 추가적인 부가서비스 축소 작업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 수익이 줄기 때문에 부가서비스 축소와 마케팅 비용 절감은 불가피하다”며 “사실 부가서비스 혜택이라는 것이 일종의 덤인데 2개 주던 덤을 1개 덜 주는 것을 가지고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된다고 해석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다만 부가서비스 축소도 수익을 보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카드사들의 입장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부가서비스의 축소와 광고, 판촉비 등 마케팅 비용 절감은 곧 고객 이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줄일 수 있는 부분에는 한계가 있다”며 “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했을 때 대형가맹점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카드사들은 수수료 인하 여력을 위해 대형가맹점의 수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한다. 금융위는 수수료 체계 개편 발표를 통해 “대형가맹점의 수수료율이 0.2~0.3% 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대형가맹점들이 순순히 수수료를 올릴지는 미지수다. 대형가맹점이 수수료 인상을 거부할 경우 카드업계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된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카드사가 대형가맹점의 부당한 요구를 수용할 경우 최대 3개월의 영업정지와 5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는 규정이 협상력을 키워주는 일종의 장치가 될 것”이라며 “대형가맹점 수수료율 인상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는 현재 법률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