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인사청문특위 민주당 간사인 박영선 의원 등은 5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주장했다.
우선 고영환 후보자에 대해서는 태안 기름유출 사건과 관련, 삼성중공업에 대한 태안 주민들의 손해배상액이 2조6000억원이었으나 56억원으로 판결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신세계의 불공정거래행위와 관련한 행정소송에서도 신세계가 패소한 1심 판결을 2심에서 뒤집은 것을 문제점으로 제기했다.
박범계 의원은 "유사 사건에서 신세계만 유일하게 승소했다"며 "친재벌, 좁게는 친삼성적인 경향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창석 후보자에 대해서는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에게 227억원의 배임죄가 추가된 삼성SDS 배임사건의 파기환송심에서 환송 전과 동일한 법정형을 선고했다는 점을 거론했다.
김신 후보자와 관련해선 그가 김진숙씨의 한진중공업 크레인 시위 당시 하루 100만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한 것을 문제 삼았다. 이춘석 의원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법정책적인 배려 의지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최재천 의원은 김병화 후보자에 대해 "울산지검에서 차장검사로 재직 시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이 경영진으로부터 2억원을 수수한 사건을 내사하다가 중단하고 공소 시효가 끝난 뒤 수사를 재개, 돈을 건넨 경영진을 처벌에서 제외됐고 돈을 받은 사람만 처벌됐다"고 주장했다.
이날 언론에 제기된 김병화 후보자의 위장전입 의혹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후보자는 울산지청과 부산지검 검사로 재직하던 1988∼1992년 가족과 함께 울산과 부산에 거주하면서 부인과 두 아들 주소는 근무지로 이전했지만, 본인만 서울에 주소지를 둬 아파트 청약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영선 의원은 "대부분 친재벌적인 판결을 내려 서민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거나 친재벌 위주의 수사를 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면서 "아울러 4명의 인적 구성이 서울대 출신의 50대 남성 위주로 편중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