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지사의 정책은 이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한창 낮은 지지율에 고민이 많았을 당시, 참모들의 어젠다 수정을 건의했을 때도 김 지사는 ‘통일’을 고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통일이 느닷없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준비가 중요하다”면서 “대통령이 되면 적극적인 통일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주민에 대해 따뜻한 지원을 하면서 동시에 북한 정권의 도발에는 강력한 안보로 대응한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또 김 지사는 새로운 남북관계 정립을 위해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 △국군 포로, 납북자 생환을 위한 대북 빅딜 추진 △대중국 전략외교 강화 △개성공단 황해도 전역으로 확대 △제2의 개성공단 추진 △민간 대북 인도적 지원 상시 허용 △북한 영유아 지원 확대 △탈북자 공기업 채용 확대 등의 방안도 내놓았다.
김 지사 경제 정책은 ‘규제 철폐’가 핵심이다. 기업 규제를 푸는 게 일자리를 만드는 지름길이라는 것.
그는 “일자리 창출의 기본은 기업 투자와 그로 인한 성장”이라며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 모든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실제 많은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대기업 일자리”라며 “대기업 규제를 과감히 해제해 대기업의 국내 투자를 현재 두 배 수준으로 늘리도록 유도하고 좋은 일자리 10만개를 새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상호출자제한 대상인 ‘대기업 기업집단’의 기준 상향을 제시했다.
아울러 그의 복지정책은 사회통합에 방점이 찍혀 있다.
김 지사는 지난해 11월 한 포럼에서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복지를 최대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비정규직 문제는 어렵지만 반드시 해결해야 하고, 보육부문에 대해서는 과감한 무상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