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 2곳, 시행사 15곳… 건설업체 무더기 구조조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06 18: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금감원 36개 대기업 C·D등급 분류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건설사 17곳을 포함한 36개 기업이 무더기로 구조조정에 들어갈 전망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 속에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원 이상인 업체가 대상이다.

아직까지 정확한 명단은 발표되지 않고 있지만, 건설업체는 시공사 2곳, 시행사 15곳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시공평가순위(2011년 기준) 100위내 21곳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또는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중인 상황에서 2곳이 새로 추가되는 것이다.

6일 금융감독원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은 1806개 대기업 중 세부평가 대상으로 549개사를 선정해 36개사를 C·D등급으로 분류했다.

구조조정 대상업체는 2009년 89개, 2010년 65개에서 지난 32개였다. 올해는 4개사가 늘어난 수준이다.

C등급에 해당하는 회사는 건설사 5곳, 조선사 1곳, 반도체 2곳, 디스플레이 2곳 등 15곳이다. 이들 기업은 워크아웃에 들어가 채권단과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게 된다.

나머지 건설사 12곳, 해운사 1곳, 반도체 1곳 등 21곳은 D등급을 받아 퇴출 또는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아직까지 구조조정 대상이 된 업체들도 이 사실을 통지받지 못하고 있어 건설업계는 명단 파악에 분주한 모습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공사는 2개에 불과하지만, 이 업체가 규모가 큰 대기업일 경우 업계에 큰 파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편 이들 36개사에 금융권이 빌려준 돈은 4조8000억원대에 달한다. 은행이 4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보험(2700억원)·저축은행(1300억원)·여신전문금융사(1600억원) 등 순이다.

향후 36개사가 구조조정을 추진하게 되면 금융권이 추가로 적립해야 할 대손충당금은 1조1000억원 규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또 주채권 은행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주단의 권리·의무관계를 명확히 하는 ‘워크아웃 건설사 MOU 개선방안’을 마련해 적용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