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는 상반기 농식품 수출액이 37억2000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35억3000만 달러) 대비 5.6%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신선농산물(17.2%)과 수산물(8.5%)의 증가폭이 컸으며 가공식품(1.5%)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신선농산물 수출은 인삼을 제외한 채소류(49.1%), 과실류(19.5%), 버섯류(21.6%) 등 전 품목이 증가세를 보였다. 가공식품의 경우 궐련·커피조제품·음료·라면 등의 수출이 증가했으나 설탕은 감소했다. 수산식품은 참치, 고등어, 김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오징어, 굴, 해삼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ASEAN·EU·미국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으며 러시아·홍콩·대만 등은 감소했다.
상반기 농식품 수출 증가율은 전체 수출 증가율(0.7%)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2010년 대비 지난해 상반기(35%) 증가율에 비해 크게 둔화됐다.
이는 지난해 일본 대지진에 따른 특수효과 약화,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전세계 경제 불황으로 주요 시장의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구호물자 성격의 식품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데 따른 기저효과가 발생했으며, 일본의 대 중국 수출 감소에 따른 한국산으로의 대체효과 역시 약화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사실상 당초 목표치인 농식품 수출 100억 달성은 어렵게 됐다”면서 “다만 이제까지 하반기 농식품 수출액이 상반기에 비해 증가해왔던 점을 감안했을 때 하반기 수출액이 상반기 보다는 더욱 활성화 및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수출업체의 신규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 대형유통업체를 통한 특별판촉 행사를 집중 지원하는 등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