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Inside> 고리 원전 1호기 재가동, 시작부터 ‘암초’

  • 부산시민 72% “고리1호기 재가동 불안하다”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리 원전 1호기에 대한 재가동을 허용키로 했지만 시작부터 암초를 만났다.

정부가 나서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설득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인근 주민과 지자체, 시민단체들의 의구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8일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고리1호기 재가동과 관련, 지난 6~7일 1박2일 일정으로 부산을 방문해 ‘선(先) 공감대 후(後) 재가동’ 방침을 밝히며 재가동 반대 여론 무마에 나섰지만 재점검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홍 장관은 7일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원전 주변 지역인 기장군 장안읍과 울주군 서생면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홍 장관은 이 자리에서 “원자력안전위는 고리1호기에 대해 기술적으로 가동해도 안전하다는 사실을 발표했지만 주민들과 소통이 안된 상태에서 재가동하지는 않겠다”며 “장관직을 걸고 약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기장·울주군 관계자는 “고리1호기 안전점검을 한 전문가들은 친원자력 세력들로 대한민국 원자력정책을 좌지우지하고 있기 때문에 조사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며 “미국과 프랑스 원전기구, 국내 민간전문가, 주민의 참여속에서 재점검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간담회 참석 주민들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역상권이 죽고 찾아오는 사람도 없다”며 “고리원전이 안전하다면 대한민국에서 제일 살기 좋은 곳이 되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보상이 뒤따라야한다”고 요구했다.

실제로 부산 시민 10명 중 7명은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재가동 승인이 난 고리원전1호기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합진보당 김제남 의원이 고리 1호기 재가동 승인에 대해 부산에 살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시민들은 ‘고리 1호기 재가동’에 대해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7.3%, ‘불안한 편’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35.1%로 전체 응답자의 72.4%가 고리 1호기 재가동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홍 장관은 주민들의 고리1호기 재점검의 요구에 대해 “한국의 원자력기술이 미국과 프랑스에 비해 뒤처지지 않는다”며 “원자력안전위는 독립기관으로 재점검 논의를 거론할 권한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김균섭 한수원 사장은 “원전 운영을 앞으로는 성과와 처벌 중심에서 안전과 예방 중심으로 바꾸고, 주민들이 발전소 내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앞서 6일 오후 부산시청을 방문해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리 1호기 안전에 대한 의구심이 풀어질 때까지 충분히 대화한 뒤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면 재가동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리 원전 1호기는 1977년부터 가동된 국내 최초의 원전이다. 설계 수명은 30년 이었지만 2007년 정부의 안전 점검을 거쳐 10년 연장운전이 결정됐다. 이 때부터 폐쇄 여부를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있다. 더구나 지난 2월 비상 디젤 발전기 고장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됐는데도 직원들이 비상조치는 커녕 상부에 보고 조차 묵살한 채 조직적으로 이를 은폐했다가 국민적 불신이 극에 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