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1980년 24회 행정고시를 합격하고 공무활동을 시작했다.
임 의원은 1985년 9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재정경제부와 청와대에 근무하면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해 그는 1987년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그는 2000년 5월 제 16대 경기 성남 분당을 지역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이후로 본격적인 정계활동을 펼쳤다. 이후 동 지역에서 17대, 18대 국회의원을 연임했다.
2004년 7월부터는 새누리당의 대변인으로써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냈고 이후 2007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의 비서실실장으로 물심양면으로 이명박 대통령을 도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 이후 그는 2008년 새누리당의 정책위원장 의장으로 역임한 뒤 2009년 9월 고용노동부 장관에 취임한다. 2010년 7월 이명박 정부 대통령 실장으로 임명된 뒤에는 의원직을 사퇴했다.
국회 임기기간동안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파주지역의 특구건설을 추진, 북한 개성공단과의 연계를 주장하며 국회에 법률안을 제출했으나 통과되지는 못했다.
그는 새누리당의 ‘권력형 비리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주요 정책 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각종 정책 전문가로서 이명박 대통령을 보좌해왔다. 이명박 대통령이 임기 후반에 내세운 공정한 사회론은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의 작품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불어진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문제, 불법 언론사찰과 증거인멸을 시도한 혐의로 전국 언론노동조합으로부터 고소받은 것은 그에게 아킬레스 건이다.
최근 그는 당 지도부의 대선경선룰에 대해서 “당 지도부가 독선적이고 비민주적으로 대선경선을 운영하면 대선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당 지도부를 비판하면서 갈등을 빚기 있기도 하다.
한편,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교육.직장.주거를 국민 3대 걱정으로 꼽고 이를 해결해 ‘걱정없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