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 인력자원사회보장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16개지역에서 최저임금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최저월급 평균증가폭이 1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경제관찰보가 9일 전했다. 지난해 25개 지역에서 조사한 최저임금 상승률 22%에 비하면 5%p 낮은 수치다. 매체는 올해 전체 급여증가에는 상당한 압박이 가해질 것으로 보이며 결코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중국은 각지의 최저임금표준을 2년에 최소 한차례 올리도록 규정해 놓았다. 이에 더해 지난해 시작된 12차5개년규획에서는 매년 15% 이상의 임금인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20% 이상의 최저임금 인상이 필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날 발표된 인력자원사회부장부의 조사자료는 베이징(北京), 쓰촨(四川), 장시(江西), 산시(陝西), 선전(深圳), 산둥(山東),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광시(廣西), 닝샤(寧夏), 간수(甘肅), 윈난(雲南), 충칭(重慶), 장수(江蘇), 신장(新疆) 등 16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중 최저 시급이 가장 높은 곳은 베이징(14위안)이었고, 최저 월급이 가장 높은 곳은 선전(1500위안)이었다. 16개 지역중 조정후 최저 월급이 1000위안을 넘어선 지역이 14곳으로, 전년대비 8곳 증가했다.
최저임금 상승세가 지난해에 비해 약해진 이유로는 중국의 경제성장세 둔화에 기인한다. 경제성장 둔화가 기업의 지불능력을 약화시켰고, 지난해 이뤄졌던 빠른 임금인상은 기업원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중소기업은 이로인해 자금난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올해 1월, 2월의 기업들의 이윤은 전년대비 5.2% 감소했다. 3년만에 최초의 마이너스 성장이었다. 1월부터 5월까지의 실현이익은 2.4% 감소했으며 5월에만 5.3% 줄었다. 베이징 사범대학 금융연구센터의 중웨이(鍾偉) 주임은 "올해와 내년에 중국 경제는 재고를 줄이고, 생산능력을 줄이는 과정을 겪게 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대규모의 인수합병과 파산이 야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노동조합의 연합체인 중화전국총공회의 보장부 부장인 저우전(鄒震)은 "공회 조직으로서 임금인상을 바라기는 하지만 경제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시점임에는 분명하다"며 "현재 경제에는 불확실성이 짙으며, 하반기 경제가 호전되지 않는다면 되려 임금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