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취재현장>발등에 불 떨어진 절전대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09 16: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올 여름 전력수급난에 대비한 기업들의 에너지절약 캠페인이 다른 어느 때보다 활기를 띠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비용절감의 필요성이 절약정신을 고양시키는 데 한몫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론 한국전력이 전기요금 인상률을 놓고 고심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뒤늦게 바빠졌다는 인상도 준다.

그런데 절전 내용을 보면 비상시에만 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드는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 절전을 위한 정시퇴근이나 엘리베이터 격층 운행, 저층은 걸어서 이동하기 등이 그러하다. 이런 것들은 평소에도 생활화가 필요한 절전 요령들이다. 비상대책안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그나마도 지금 쏟아져 나온 절전계획들이 전기요금 인상안이 정해진 다음에는 한풀 꺾일까 걱정스럽다.

낮은 전기요금은 국내 제조업 등의 성장에 기여했지만, 자원 부족국가인 우리나라가 계속 떠안고 가기에 부담이 크다. 지금껏 누려온 혜택을 감안하면 기업들이 좀 더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기업이 먼저 나서야 일반 국민들도 달라진다. 밤새도록 전기가 켜져 있는 기업들의 대형광고물을 보면서, 우리집 전기부터 아껴 써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일반 국민들도 낮은 요금 때문에 에너지절약에 둔감해진 경향이 있다. 일례로 올 초 기름값이 천정부지로 뛸 때 정유사나 주유소에 대한 질타와 유류세 인하 요구가 들끓었지만, 정작 소비는 늘어났다.

한전은 5년 연속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올해는 그야말로 전기요금을 인상하는 게 지상과제가 됐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전기를 쓰는 기업과 국민의 책임도 없지 않다. 지금의 절전 비상대책들이 상황이 호전될 때까지만 이행될 것이 아니라 지속성을 가지고 생활화되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