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전쟁 승자는
여야 대선주자들은 어떻게 국민을 행복하게 해줄 것인가를 놓고 대립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경제민주화 정책 대결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이제 국정운영의 패러다임을 국가에서 국민으로, 개인의 삶과 행복 중심으로 확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경제민주화 실현과 일자리 창출, 한국형 복지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문 고문도 '우리나라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해 특권과 권력의 횡포에 지친 보통사람의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하면서 사회적 일자리 창출 등 분배문제 해결에 나설 뜻을 밝혔다. 손 고문은 '저녁이 있는 삶'을 통해 개발독재시대의 저임금-장시간 노동에서 탈피, 개별적 복지국가 완성을 공약한 상태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평등국가'를 슬로건으로 못박고 나섰다.
이들에겐 더 이상 퇴로가 없다. 박 전 위원장과 손 고문은 대권 '재수생'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추모열기와 함께 부상한 문 고문과 차차기가 아닌 이번에 대선에 뛰어든 김 전 지사도 이번이 마지막 대권 도전일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 도전과 숙제
여야 대권주자들에게 남은 숙제는 뭘까. 박 전 위원장은 '빈약한 역사인식'과 강한 보수색채가 한계로 지적된다. 이런 점들이 중도층의 표 확장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것이다.
박 전 위원장은 2007년 경선 당시 후보검증 청문회에서 "5ㆍ16은 구국혁명이었다"고 평가한 바 있다. 유신 자체에 대해서도 "역사에 판단을 맡겨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해 왔다. 이 때문에 박 전 위원장 주변에서도 어떻게든 이를 정리하고 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 경선 룰 확정과 캠프 인선을 놓고도 '불통' 이미지가 강하다. 정치발전위원으로 합류한 서울대 박효종 교수는 뉴라이트 출신으로 보수성향이 짙다.
5·16 쿠데타와 박정희 정권에 대한 평가에서 박 전 위원장과 '코드'가 맞아 영입된 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 재벌그룹인 삼성 출신으로 전경련 부회장을 지낸 현명관씨를 정책위에 합류시킨 데 대해 친박(친박근혜)계 내에서도 "결국 경제민주화를 하지 않겠다는 뜻 아니겠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개인적 의혹도 크다. 정치권에선 박 전 위원장과 고(故) 최태민 목사의 관계, 육영재단과 정수장학회 비리의혹, 청와대를 나온 직후인 1979년부터 정치권에 들어오기 전인 1997년까지의 사생활 등에 대한 의혹 제기가 많다.
야권 주자들은 40%대에 육박하는 박 전 위원장에 비해 현저히 낮은 지지율이 문제다. 문 고문을 제외한 다른 후보들의 지지율은 한 자릿수다. 문 고문의 지지율도 10%대 초반이다. 야권 주자들이 중도·서민층에게 확실한 '대안세력'이자 '책임정치의 구현자'로 인식되지 못하기 때문에 지지율이 저조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정대화 상지대 교양학부 교수는 "야권 주자들의 지지율은 너무 낮다. 박근헤 후보와 싸움이 안 된다"며 "어떤 파괴력이나 정치적 영향력을 (현재로선) 가늠하기 힘든 안철수 변수에 의지하는 게 야권의 현주소다"라고 진단했다.
◆박근혜 대 박근혜의 싸움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을 박 전 위원장 자신과의 싸움으로 보고 있다. 40%대의 견고한 지지율을 확보한 박 전 위원장이 50%대로 나갈 수 있느냐에 관심이 모아진 것이다.
함성득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는 "지난 대선이 이명박 대 이명박의 대결이었던 것만큼 이번 대선은 박근혜 대 박근혜의 싸움이 될 것"이라며 "박 전 위원장이 30%의 스윙보터를 얼마나 잡느냐에 따라 승부가 결정날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의 최대 변수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게 주어진 숙제는 검증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안 원장은 정책과 사생활, 기업가로서의 업적, 학력과 가족문제 등에서 국민적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