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KOTRA에 따르면 올해 4월 리텍엔지니어링(Leetec Engineering Co.)을 중심으로 한 한국 4개사 컨소시엄이 청두시 룽취안(龍泉) 쓰레기매립장 매탄가스를 활용한 발전프로젝트를 수주했다. KOTRA 청두무역관이 측면지원한 이 프로젝트는 중국 서부에서는 최초로 한국기업이 주도하는 민자 프로젝트 디벨로핑사업이다.
인구규모가 1400만명에 달하는 청두시 유일의 쓰레기 매립장인 룽취안 현의 쓰레기 매립장 매탄가스를 활용해 올해 12월까지 발전설비를 건설해 이후 12년간에 걸쳐 메탄가스 처리로 생산하는 전기와 탄소배출권(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판매로 약 14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쓰촨성 인근에 자체 쓰레기 매립장을 운영 중인 100만명 이상의 도시가 18개나 되는데, 많은 도시환경국이 이 프로젝트의 추이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유사 프로젝트로 확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KOTRA는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점증하는 한국 그린기술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기 위해 올해 9월 쓰촨성 대표 환경기업 12개사를 부산국제환경에너지전시회로 초청해 추가적인 그린프로젝트 발주를 추진하기로 했다.
중국 서부 지역의 그린산업 기존강자는 미국, 프랑스, 이스라엘 등이다. 그러나 서부 지역이 제조 및 대외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할 뿐 아니라 한-중 FTA에 대한 체결기대감이 작용하면서 한국이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 6월 4일 KOTRA의 지원으로 쓰촨성의 주요 환경 및 식품가공기업 120개사가 역대 최대규모로 한국을 방문, 쓰촨성 투자환경설명회 및 쓰촨우수기업전시회를 성황리에 개최한 바도 있다.
쓰촨성의 중심도시 청두는 포브스, 맥킨지가 선정한 향후 10년 내 가장 발전 유망한 도시 1, 2위로 선정될 만큼, 성장잠재력이 무궁한 도시이다. 이곳을 선점하는 것이야 말로 중국 내륙 그린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KOTRA 임성환 청두무역관장은 “쓰촨성의 그린프로젝트 수요와 우리 기업의 진입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쓰촨성이 아쉬우면서 한국기업이 강점을 가진 분야가 우선 공략대상으로, 배기가스 및 매탄가스처리, 오폐수처리, LED 패키징 및 응용기술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진출 가속화가 꼭 필요하다”며 “고부가가치 창출과 무한복제가 가능한 그린 분야를 집중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