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빗물 누전화재 많아…서울소방본부 "누전 화재 40% 빗물 때문"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장마철인 7월 집중호우 때문에 생기는 빗물 누전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는 상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220건의 누전화재 중 40%가 빗물 때문이며, 7월 들어 10여 건의 빗물 누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11일 밝혔다.

누전화재는 평균 강수량이 많은 7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지난 2011년 발생한 누전 화재 69건 중 30%(21건)가 발생한 7월 강수량과 2010년 발생한 누전 화제 78건 중 25%(20건)가 발생한 9월 강수량은 1131mm와 671mm로 연중 가장 많았다.

장소별 누전화재 발생빈도는 주택이 24.5%(53건)로 가장 많았고 판매·업무 시설 16.6%(36건), 음식점 13.4%(29건) 순이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빗물 누전화재는 대부분 분전반과 계량기 및 옥외 간판에 물이 스며들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낡은 전선 또한 장마철에는 위험하다"며 "장마가 오기 전에 벗겨진 전선이 있는지 전기시설물에 비가 스며드는지 여부를 꼼꼼히 살펴야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