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택수 신보 이사장 "경기 침체 시 최대 40조원 이상 지원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12 17: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12일 "경기가 침체될 경우 보증 총량을 최대 40조4000억원(보증잔액 기준)까지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안 이사장은 이날 서울 마포구 가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상반기 일반보증 잔액이 39조7000억원인데 하반기에 자동 해지로 상환되는 금액 4조3000억원을 빼면 현재 39조원의 여유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우선 1단계로 40조 4000억원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고, 침체 강도가 상당히 심각할 경우 정부와 협의해서 그 이상의 수준으로까지도 보증지원을 해야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지난 6월말 기준으로 일반보증과 유동화회사보증, 시장안정특별보증을 합한 신보의 총 보증잔액은 45조2000억원으로, 상반기 중 신규보증만 6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일반보증 신규 공급액은 6조1000억원으로 상반기 공급계획(5조3000억원)의 115%를 이미 달성했다.

부실률은 지난달까지 4.97%였으며, 구상채권 회수는 6월 현재 3535억원을 기록중이다. 기본 재산은 지난달 기준으로 6조100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안 이사장은 "올해 사상 최초로 정부에 3500억원을 역출연하는 등 기본재산이 많이 확충됐다"며 "운용배수를 10배 가량 늘인다면 경기침체 중반기까지는 신보의 기본 재산으로도 보증 지원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안 이사장은 주택 수요가 감소에 따라 신규 공사가 급감하면서 종합건설업종의 보증수요가 적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전문건설사까지 보증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종합건설업은 (보증)수요가 적기 때문에 전문건설업까지 범위를 확대해 건설사 유동화회사보증(P-CBO) 지원 폭을 넓히는 것이 건설경기 진작과 더불어 하반기 경기 부양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며 "현재 이를 정부와 협의중에 있으며 아직까지 경기 국면에 대한 구분이 어려워 하반기에 3조원까지 발행하는 방향으로 논의중"이라고 덧붙였다.

안 이사장은 신보법 개정에 따라 5년 이상 된 부실채권을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하는 것에 대해 "기술보증기금처럼 부실채권을 캠코에 넘길 경우, 신보는 손실이 크다"면서 "4년째 매년 7000억원대 회수율을 내고 있는데, 이러한 부실채권을 헐값에 넘기는 것은 관리업무를 맡는 이사장으로서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신보의 노용훈 관리부 본부장은 "신보는 36년간 채권 추심업무를 해왔고 올 초 무담보 신용채권 가운데 부실채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업계 최초로 획득했다"면서 "캠코와 신보의 회수율은 약 5배 차이가 나므로, 5년 이상 채권을 무조건 매각하는 게 아니라 캠코와 협의해 매각이 바람직한 채권을 단기간에 매각하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채무자들의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현 수준에서 단계적으로 매각 채권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안 이사장은 이달 17일로 4년간 재직했던 이사장직에서 퇴임한다.

그는 후임 인선에 대해 "아는 바 없다"며 선을 그은 뒤 "공심(公心경영에 관심이 많고 변화와 혁신을 시도할 수 있는 분이 오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