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정부당국과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이달초 이란에 급파됐던 정부 합동 협상단은 자국의 유조선으로 한국까지 원유를 수송해주겠다는 이란 정부의 제안을 사실상 수락했다.
이를 위해 이란 정부는 자국 유조선에 10억 달러 규모의 선박 보험을 제공하겠다는 '당근책'도 함께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이 보유하고 있는 선박도 충분해 우리나라 원유수입량을 수송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일 EU의 대이란 제재조치 이후 이란산 원유 수입이 중단되면서 우리 정부는 국내 유입을 위한 해법을 다각도로 모색해왔다. 일각에서는 일본처럼 정부가 직접 보증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나왔지만 정부로서는 부담스러웠던 게 사실이다.
다만 이란의 핵개발 반대 여론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이란핵반대연합(UANI) 등이 우리 정부의 이란산 원유수입 재개 움직임을 맹비난하고 나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 단체는 독일, 프랑스의 주요 선박회사들이 이란 회사와 거래를 끊는데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일단 긍정적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이같은 방침을 미국측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전면 중단됐던 이란산 원유수입이 이르면 다음달쯤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뭄에 단비 같은 소식에 산업계는 반색이다.
특히 이란 원유수입이 재개될 경우 교착 상태에 놓였던 2900여개의 이란 수출기업들도 다시 활력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이란에 자동차와 철강판, 합성수지 등 화학제품을 수출하는 중소기업들도 큰 고민거리가 해결되게 됐다.
당초 이란 제재가 6개월 이상 장기화될 경우 우리 기업들이 수출대금을 받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이 우려됐기 때문이다. 이란에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은 국내 정유사가 이란에 지급해야 하는 원유 수입 대금과 맞바꾸는 형태로 수출 대금을 받고 있다.
한편 이란과 교역하는 2900여개 국내 기업 중 2700여개가 중소기업이다. 전체 교역 기업 가운데 수출의존도가 50% 이상인 기업이 25%인 700여곳이다.
우리나라의 대이란 수출은 2009년 40억 달러, 2010년 46억 달러, 2011년 60억 달러 등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