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13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위안부 대신 성노예라는 표현으로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민주통합당 심재권 의원의 질문에 “검토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그는 “위안부라는 표현 자체가 과거 그분들의 의견을 반영해 만든 용어로 알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용어는 살아계신 분들과 협의해서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일본군 위안부를 ’강요된 성노예‘로 표현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바 있다.
김 장관은 또한 국가안전위해죄 혐의로 중국 공안에 체포된 북한 인권운동가 김영환씨의 석방 문제에 대해 “석방될 가능성이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석방 시기에 대해 “언제 될지는 모르겠다”고 밝힌 데 이어 석방 조건에 대해서는 “조건이 없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제주도 남단에 위치한 잠재적 석유자원 매장지인 대륙붕 7광구에 대해 “유엔에 자료를 내고 우리의 대륙붕이라고 주장하지만 일본은 분명히 반대할 것”이라며 “일본과 협의가 중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대륙붕 문제에 대해 한ㆍ중이 공조하는 것이냐”는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의 질문에 “(동중국해 대륙붕 한계정보와 관련) 우리가 유엔에 제출하는 서류에 대해 중국이 `같이하면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이 같은 발언은 7광구가 일부 위치한 동중국해 대륙붕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한ㆍ중이 공동보조를 맞춰왔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은 또한 “중국이 7광구를 부정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명시적으로 부정한다고 얘기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전날 캄보디아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북한 외무상과의 만남이 이뤄지지 못한데 대해 “작년에도 인사하려 했는데 그분이 인사를 안받았다”며 “그분이 저를 안만나고 싶어하는 것처럼 느꼈다”고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