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 4년간 고작 7% 떨어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17 18: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년간 43% 폭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방경직성' 방증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집값 급등기인 2006년 이후 43% 가까이 올랐던 서울·수도권 집값이 지금까지 7% 빠지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써브가 서울·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45만4630가구를 대상으로 3.3㎡당 매매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6년부터 아파트값이 정점을 찍었던 2008년 9월까지 수도권 집값이 평균 43% 올랐다.

이후 4년간 집값 하락 폭은 7%에 그쳤다. 이는 집값이 오를 때는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상승하지만 올랐던 집값이 내리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이른바 집값의 '하방경직성'이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서울·수도권의 경우 2006년 3.3㎡당 882만원이던 아파트값이 2008년 1260만원까지 올랐다. 현재 서울·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1173만원으로 2006년에 비해 291만원 더 높다.

강남권(강남·서초·송파구)은 3.3㎡당 2283만원이었던 아파트값이 2007년 1월 3001만원으로 고점을 찍어 31% 상승했다. 현재는 3.3㎡당 2714만원으로 10% 떨어졌다.

2008년 이명박 정부의 뉴타운 정책에 힘입어 ‘노·도·강’으로 불렸던 강북3구(노원·도봉·강북구)는 2006년 3.3㎡당 662만원에서 2008년 9월 1245만원으로 무려 88%나 치솟으며 최고점을 기록한 뒤 현재(3.3㎡당 1127만원)까지 10% 하락했다.

2006년 5월 버블세븐 지역으로 지정됐던 강남권과 양천구 목동, 분당·평촌신도시, 용인시는 3.3㎡당 1657만원에서 2007년 2월 2168만원으로 강남3구와 마찬가지로 31% 올랐다. 고점 이후 현재는 1899만원으로 2000만원 선이 붕괴되며 시세가 12% 내렸다.

박정욱 부동산써브 리서치팀 선임연구원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 폭등했던 아파트값이 최고치를 찍은 뒤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울기는 완만한 모습"이라며 "유로존 금융위기가 여전한 데다 집값 상승 기대감도 꺾인 상황이기 때문에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하향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