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22일 “단체별 평가 등급은 내부적으로 올해 지원 대상단체의 심사자료"라며 "국회에도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올해 비영리 민간단체 공익사업 지원 대상 선정이 완료됐다는 점에 비춰볼때 “심사용이어서 공개하지 못한다”는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와 함께 종합평가결과 보고서에도 각 단체의 점수는 적지 않고 서술형으로만 평가 내용을 기재해 성과가 저조하거나 문제가 있는 단체를 가려내기가 모호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 `회계처리 부적정’ 사유로 사업비를 500만원 이상 물어낸 대한민국건국회와 통일탈북인연합회, 21C안보실천연합 등 7개 단체는 환수 내역이 보고서에 전혀 반영돼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업비 환수 조치 대상이 되면 다음연도 사업에 아예 지원할 수 없게 강력한 제재를 받지만 보고서에서는 이 같은 상황을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 전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행안부는 5900만원을 보조받아 전국 마라톤 대회를 치른 대한민국건국회에 대해 “사업수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잘 파악하고 있고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하면 보다 효과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됨”이라고 총평 뿐이었다.
이에 대해 행안부는 “이의 신청이 들어오면 수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고서에 넣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의를 제기하더라도 환수 조치 자체가 취소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은 금액이 일부 조정될 뿐이라는 점에서 이같은 답변은 납득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