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계열사간 '빚보증' 많은 기업, 한진·이랜드 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30 08: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진그룹 계열사간 채무보증 6737억원<br/>-이랜드월드·리테일, 각각 7개사에 채무보증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올해 63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계열사 간 채무보증이 가장 많은 기업은 한진과 이랜드그룹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4월 12일 기준 대기업집단 63개 그룹 중 한진그룹은 계열사 간 채무보증이 673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이랜드의 제한대상 채무보증금액은 2479억3300만원으로 제한대상 채무보증 14개 대기업 집단 중 가장 많은 금액을 차지했다.

한진, 이랜드그룹에 이어 대성그룹과 한라 그룹은 각각 224억원, 1611억원으로 그 뒤를 따랐다. 한진그룹은 전액 제한제외대상인 반면, 나머지 모두는 채무보증이 제한대상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을 보면, 지정된 대기업 집단은 원칙적으로 계열사 간 채무보증을 설수 없게 돼 있다. 다만, 신규지정된 집단의 소속회사 또는 기존 집단의 신규 계열사로 편입된 회사는 지정일(계열편입일)로부터 2년간 채무보증이 유예된다.

제한제외대상 채무보증은 산업합리화, 국제경쟁력 강화 등과 관련된 채무보증으로 예외적인 허용을 두고 있다.

한진의 채무보증액은 산업합리화 조치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2017년까지 순차적 해소가 예정돼있다.

제한제외대상 채무보증사유는 산업합리화 및 사회간접자본(SOC) 등이 요인이다. 한진은 2010년 9004억원에서 지난해 7870억원, 지난 4월 6737억원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랜드도 월드와 리테일이 이월드, 데코네티션 및 엘칸토 등 각각 총 7개사에 채무보증을 선 상태다.

아울러 올해 신규 지정된 대기업집단(9개) 중에는 5개 집단에서 5012억원의 채무보증이 나타났다.

5개 집단은 이랜드(2479억원), 한라(1611억원), 태영(855억원), 농협(65억원), 부산항만공사(2억원) 등이다. 이 외에도 LG그룹, GS그룹이 각각 65억원, 250억원 등 계열사 간 채무보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의 경우는 지난해 4월 기준해 965억원의 채무보증을 기록했으나 전액 해소한 상태다.

한편 지난 4월 기준한 63개 대기업 집단의 계열사 간 채무보증 금액은 1조694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8% 감소했다. 2011년에 이어 연속 지정된 54개 대기업집단의 채무보증금액은 전년대비 59% 감소한 1조1928억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